뇌, 척수, 시신경으로 구성된 중추신경계에 발생하는 만성 질환으로 환자 자신의 면역 체계가 건강한 세포와 조직을 공격하는 자가면역 질환입니다. Attack(발병)이라고 불리는 신경학적 증상이 나타나며 20~30대에 호발하고 여자에게서 더 흔합니다.
다발성 경화증의 명확한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지만, 여러 연구 결과에 따르면 유전적 요인 및 환경적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1) 환경적 요인 : 다발성 경화증은 적도에서 떨어진 지역에서 더 흔하게 발생하며, 유럽 및 북미 지역에서 가장 빈번하게 발생합니다.
2) 유전적 요인 : 유전자에 따라 환경적 요인에 더 민감하게 영향을 받을 수 있는 사람도 있습니다. 다발성 경화증 환자 중 그 자녀에서도 이 질환이 발생할 확률은 2~3%에 불과합니다.
한쪽 시각신경염이 다발성 경화증의 초기 증상으로 흔히 발생하고 재발도 잘되며 질환이 경과되면서 동반되는 증상이 다양합니다. 어떤 중추 신경계가 영향을 받았느냐에 따라 다양한 증상이 나타나고 일반적 증상은 아래와 같습니다.
1) 시신경 : 한쪽 또는 양쪽 시각장애/상실
2) 뇌간 : 안구진탕증 , 겹쳐 보임
3) 척수 : 감각 및 운동 장애, 배뇨 장애, 배변 장애, 성기능 장애
4) 대뇌 : 마비, 피로, 인지기능 장애, 우울
5) 소뇌 : 보행 및 균형능력 장애, 떨림, 어지러움
또한 다발성 경화증 환자의 다수가 피로를 호소합니다.
다발성 경화증에 특이한 검사 소견은 없으며, 임상 진단에 의해서만 가능합니다.
1) 신경학적 검사
2) 자기공명영상 (MRI)
3) 유발전위검사
4) 척수액 검사
5) 다발성 경화증의 증상과 유사한 증상을 보이는 질환(전신성 홍반성 낭창, 라임병, 신경매독 등)을 배제하기 위해 혈액검사를 시행하기도 합니다.
다발성 경화증의 치료는 다음과 같이 이루어집니다.
1. 급성 재발의 관리
1) 스테로이드 치료-정맥 주사(methylprednisolone)
스테로이드는 다발성 경화증을 치료하지는 못합니다. 단지 재발의 기간과 심한 정도를 줄일 뿐입니다.
2) 경구 복용(prednisone)
2. 여러 증상의 관리
1) 배뇨/배변 장애
2) 통증
3) 피로
4) 우울증
5) 불임
6) 간수치 증가
7) 성기능 장애
3. 다발성 경화증, 질환의 관리
다발성 경화증의 완치치료법은 없습니다. 그러나 병의 경과를 조절 및 완화시키는 효과적인 방법들이 있습니다.
4. 질병완화제제 (disease modifying therapy)
1) 베타 인터페론 : beta Interferon
- lFN-ß1b(Betaferon)
- lFN-ß1a(Rebif)
증상이 호전되어 퇴원 시 1주일에 3번 피하주사로 가족들이 주사요법할 수 있게 교육합니다. 치료제가 아닌 재발 빈도를 낮추는 약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2) 글라티라머 아세테이트 : Glatiramer acetate
3) 미토산트론 : Mitoxantrone
4) 티사브리 : Tysabri (Natalizumab)
5. 면역 조절 제제
재발의 횟수와 심한 정도를 줄이고 장애의 진행을 늦추도록 합니다. 확정적인 진단이 내려진 후에 질환이 심각한 손상이나 장애를 일으킬 틈이 없도록 바로 투여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치료 방법을 선택할 때는 환자가 경험한 재발의 횟수, 장애의 정도, 다발성 경화증의 타입, 질환을 겪은 기간, MRI 촬영 결과 같은 요소를 고려하고 있습니다. 치료 결정은 언제나 환자와 신경과 전문의의 상담을 통해 이루어져야 합니다.
면역조절제제는 임상적으로 명확한 다발성 경화증으로 진행되는 것을 늦추며 재발의 횟수와 심한 정도를 줄입니다. 또한 일상생활 능력을 유지하면서 질환이 악화되는 것을 늦춥니다. 그러나 다발성 경화증을 완치시키거나 이미 발생한 장애를 완전히 없애거나 중추신경에 발생한 손상들을 되돌리지는 못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