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면증은 수면 발작(야간에 충분한 수면을 취함에도 낮에 심한 졸음), 탈력 발작(감정적으로 흥분할 때 힘이 빠지는 증상), 입수면기의 환각, 수면 마비(가위눌림) 등 네 가지의 특징적인 증상을 보이는 수면 장애의 일종입니다. 기면증은 그 증상이 청소년기에 처음 나타나는 경우가 많으며, 심한 졸음으로 학업에 장애를 초래하고 운전 중인 사람에게는 사고 위험을 높입니다.
발병은 청소년기 또는 초기 성년기에 가장 흔히 시작되며 대부분이 30세 이전에 발병한다고 합니다. 중추신경계 내의 하이포크레틴 전달 이상이 병의 원인과 관련되어 있다고 추정되고 있으며 유전적 요인도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탈력 발작, 낮 시간대의 졸음(수면 발작, sleep attack), 입수면기의 환각, 수면 마비 등 네 가지의 특징적인 증상을 나타냅니다. 가장 흔한 증상은 수면 발작으로 자신도 모르게 잠에 빠져들며, 15분 정도 수면 후 맑은 정신으로 깨어납니다.
탈력 발작은 주로 감정의 변화와 결부되어 갑자기 근육의 긴장이 소실되어 쓰러지는 경우를 말합니다. 증상들은 한꺼번에 나타나지는 않고 몇 년씩 떨어져서 그리고 그 심한 정도가 각각 달리 나타나기도 합니다. 진단을 받기 전에는 낮 시간대의 졸음으로 인해 게으른 성격으로 오인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기면증 진단을 위해서는 1박 2일 동안 수면검사실에 머무르면서 야간 수면 다원 검사와 주간검사를 연이어 하게 됩니다. 야간 수면 다원 검사에서는 낮 동안 졸음을 초래할 만한 다른 수면장애가 있는지 확인하고, 주간 검사에서는 심한 주간 졸음, REM 수면 이상 증상을 객관적으로 확인하여 진단합니다.
기면증 치료는 약물을 이용합니다. 낮 동안의 졸음 증상에 대해서는 각성제를 사용하고 탈력 발작, 수면 마비에 대해서는 항우울제 계통의 약을 쓰게 됩니다. 최근 각성제는 부작용이 적고 안전하며 효과적이어서 장기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약물 복용 중에도 심하게 졸음이 올 때는 20분 정도 낮잠을 자도록 하고, 밤에는 규칙적이고 충분한 수면을 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스퍼거증후군 치료법 진단증상 (0) | 2019.10.27 |
---|---|
난독증 증상 및 치료법 (0) | 2019.10.27 |
금단현상 극복방법 및 기간 (0) | 2019.10.27 |
광견병 증세 (0) | 2019.10.27 |
과호흡증후군 치료,증상,원인 (0) | 2019.10.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