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몸은 정상적으로 호흡을 통해 산소를 받아들이고 이산화탄소를 배출시키며, 동맥혈(동맥 속의 혈액)의 이산화탄소는 37~43mmHg 범위에서 그 농도가 유지됩니다. 어떠한 이유에서든 과도하게 호흡하게 되어 이산화탄소가 과도하게 배출되면 동맥혈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정상 범위 아래로 떨어지게 되어 호흡곤란, 어지럼증, 저리고 마비되는 느낌, 실신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상태를 과호흡 증후군이라고 합니다. 주로 젊은 여성에서 호발합니다.
정신적 스트레스가 주 원인이며, 발작적으로 과도한 호흡을 하게 되어 나타나는 질환입니다. 정신적 불안, 흥분, 긴장이 원인이 되어 과호흡이 발생하고 증상이 유발되면, 이러한 증상들이 다시 불안을 조장하여 과호흡을 지속시키거나 증상을 악화시키는 악순환을 일으킵니다.
이 밖의 신체적인 원인으로는 폐 자체의 질환(폐렴, 폐색전증, 폐혈관 질환, 천식, 기흉 등), 심장 질환, 저산소증, 대사성 산증, 발열, 패혈증 등이 있습니다. 또한 일부 약물에 의해서도 일어날 수 있습니다.
불과 수분 이내에 호흡이 빨라지고 적은 양의 호흡이 매우 힘들게 이루어지며 어지러움, 시력장애, 의식저하, 심하면 실신까지 발생합니다. 또 다른 증상으로는 팔 다리 감각 이상, 경련, 근력저하, 마비되는 느낌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발작이 지속되면 혈액이 점점 알칼리화되므로 심장의 박동이 불규칙하게 되는 부정맥이 발생하며, 심장 혈관이 수축되어 심근 허혈 증상(흉통)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첫째, 문진을 하거나 병력을 확인합니다. 최근의 불안증, 약물 과다 복용 유무 등을 묻습니다.
둘째, 신체 검진을 통해 빈 호흡의 유무, 구강 주위, 손과 발의 무감각 및 저림, 경련 등을 살펴봅니다.
셋째, ‘동맥혈 가스분석’이라는 혈액 검사를 하면 혈액 내 이산화탄소가 감소했음을 알 수 있습니다.
1. 봉투를 이용한 호흡법
(1)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는 방법 중의 하나로 환자 자신의 숨으로 호흡하는 방법입니다.
(2) 공기로 봉투를 부풀려 그 안의 공기를 호흡시킵니다.
(3) 공기 안의 이산화탄소를 흡입하게 되므로 폐포 공기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상승하여 pH가 정상화되고 호흡성 알칼리증에 의한 증상이 감소됩니다.
2. 침착한 태도로 환자에게 과환기로 인해 이산화탄소 가스가 체내로부터 배설됨으로써 증상이 나타남을 이해시킬 수 있도록 충분히 설명합니다.
3. 불안감과 공포감, 정신적 스트레스를 제거하도록 합니다.
4. 호흡을 참으면 증상이 완화됨을 설명하여 환자가 실천할 수 있도록 합니다.
5. 필요시 항불안제를 투여할 수 있습니다.
6. 재발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재발할 것 같다고 느낄 때는 스스로가 의식적으로 호흡을 조절하고 심리적 안정을 하도록 돕습니다 .
신체적 질환에 의한 것일 경우에는 해당하는 신체적 질환이 치유되면 과호흡 증후군도 자연스럽게 치유됩니다. 하지만 정신적인 원인에 의한 것이라면 병에 대한 불안 자체가 증상을 악화시키므로 자신의 증상이 심각한 신체적 질환에 의한 것이 아니라는 점을 인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재발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재발할 것 같다고 느낄 때는 스스로가 의식적으로 호흡을 조절하고 심리적 안정을 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단현상 극복방법 및 기간 (0) | 2019.10.27 |
---|---|
광견병 증세 (0) | 2019.10.27 |
공황장애 증상 극복법 (0) | 2019.10.27 |
결핵성 수막염 (0) | 2019.10.27 |
건강염려증 증상 및 치료 (0) | 2019.10.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