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성위염 증상 및 치료법






만성위염 정의

만성 위염은 위의 점막에 만성 염증이 생기는 병으로, 표층성과 위축성 위염으로 구분합니다.

      점막층 점막하층 근육층 장막의 위치및 위 벽의 구조예시

만성위염 원인

만성 위염의 원인은 헬리코박터균 감염, 약물(진통제, 소염제, 아스피린), 흡연, 조미료, 커피, 만성적인 알코올 섭취, 불규칙한 식사 습관에 의한 담즙 역류, 위절제술, 스트레스 등이 있습니다.

헬리코박터 균 감염의 예시

만성위염 증상

1) 표층성 위염은 상복부에 통증이 올 수 있는데, 식사 직후에 나타날 수 있습니다. 또한 상복부가 무겁게 눌리는 듯한 기분을 느낄 수 있으며, 메스껍고 가슴이 답답하여 소화성 궤양과 비슷한 증상을 보일 수 있습니다.

2) 위축성 위염은 위점막이 위축되어 위산 분비가 감소하는 병으로 위 속이 저산증이 되면 세균증식이 일어나게 됩니다. 명확하게 나타나는 증상이 없고 소화 불량 증상이 있습니다. 기름기나 조미료(짜거나 매운 것)를 많이 넣은 식사를 하고 난 후에 소화가 잘 되지 않는 느낌을 갖는 경우가 많습니다. 입맛이 떨어지고 메스꺼움과 구토, 전신 권태감, 설사 등이 나타날 수 있으며 위 점막이 얇아져 위벽의 혈관이 찢어지기 쉽기 때문에 때로는 출혈을 일으켜 많은 양의 피를 토하기도 합니다.

오심으로 구토증상을 느끼고 있는 여성

만성위염 진단

위내시경 검사를 시행한 후 검사 상, 원인에 대해 감별이 필요한 경우에는 조직검사를 시행하여 염증의 정도와 원인에 대해서 진단합니다. 위장 점막 상태를 평가하는 방법으로 위장조영술검사가 있지만, 미세한 변화, 색조변화, 조직검사를 할 수 없기 때문에 많이 시행하지는 않습니다. 위내시경 검사는 위장 점막에 나타난 색조변화, 표면의 결절성 변화, 점막하 혈관의 투영도를 관찰하고, 위점막이 얕게 벗겨지는 미란(erosion) 등이 있는지 확인하는 검사법입니다. 위내시경 검사는 검사 과정이 고통스럽다는 단점이 있어 수면내시경이나 코를 통해 얇은 내시경을 삽입하는 비강 내시경을 시행하기도 합니다.

경비 위내시경을 받고 있는 여성

만성위염 치료

치료는 위산 억제제, 위장 점막 보호제가 주로 처방되며, 흡연, 음주, 카페인, 자극적인 음식 등은 위염의 증상을 악화시키므로 금하는 것이 좋습니다. 증상 완화에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 못하지만 위염에서도 헬리코박터균을 치료하는 경우가 있는데, 위암의 가족력이 있는 경우, 위암 수술 후에도 헬리코박터 연관성 위염이 여전히 있는 경우, 아스피린이나 진통제에 의한 출혈의 증상이 있었던 경우에는 헬리코박터균 치료를 적극적으로 권하고 있습니다. 헬리코박터균 감염이 되면 항생제와 소화성 궤양 치료제를 먹습니다.

만성위염 경과

만성 위염의 경우에는 발병 원인과 관계없이 위장 점막이 이미 병적인 변화가 진행되고 있는 상태이므로 원래대로 되돌리기 어렵습니다. 만성 위염으로 진단된 경우에는 정기적인 위내시경 검사를 통해 위염의 정도가 변하는지 추적 검사를 해야 합니다. 추적 검사가 필요한 이유는 만성 위염의 일부에서 위궤양, 위암 발생률이 높기 때문입니다. 심한 만성 위축성 위염 환자의 10% 이상에서 암이 발생하며, 위암으로 진행하는 데 16년~24년 정도 걸린다고 합니다.

만성위염 주의사항

과음, 과식을 피하고 규칙적인 식사를 하되 자극이 적은 식사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지나치게 뜨거운 음식, 음주와 흡연, 카페인 섭취는 위염 증상을 악화시키므로 피해야 합니다. 공복 시간이 너무 길지 않도록 식사시간, 횟수를 조절하고 음식을 천천히 먹도록 합니다. 만성 위염으로 진단된 경우에는 증상에 대한 치료보다 향후 발생할 수 있는 위암을 조기 진단하기 위해 정기적인 검사를 받는 것이 더욱 중요합니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월슨병 치료방법  (0) 2019.10.27
급성심근경색 초기증상  (0) 2019.10.26
탈모 치료  (0) 2019.10.26
관절염 초기증상  (0) 2019.10.26
전격성 간염  (0) 2019.10.26